kcr.co.kr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 kcr24 | kcr.co.kr shopping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 kcr2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cr24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1:13

본문




Download : 20040219-.jpg




우리나라는 부끄럽게도 EU 環境(환경)규제 블랙리스트 4강국이다. 이 사업을 통해 협력업체에 모기업의 環境(환경)경영 기법을 이전시켜 청정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環境(환경)경영 능력을 제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
 요즘 뜨고 있는 신흥 동아시아 국가들이 아닐것이다.  산업자원부 디지털전자산업과 김판수 사무관은 “EU 등 선진국의 環境(환경)규제가 본격화되는 2006년이면 環境(환경)규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대기업 협력업체는 살아남지 못하게 돼 대기업 협력업체 구도도 재편될 展望”이라고 말했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G전자 최광림 부장은 “최근에는 EU의 環境(환경)규제에 영향 받아 미국은 전자파방사능과 같은 안전관련 이슈와 납과 같은 유해 물질에 대해 연방법에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따 중국도 국가경제 무역위원회가 주축이 돼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법제화를 추진중”이라고 설명(explanation)하며 “이에 대한 국가적인 대응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순서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



 때문에 政府(정부)는 중소기업들을 環境(환경)규제에 눈뜨게 하기 위해 상반기부터 청정기술개발자금(2∼3년간 54억원)을 활용, △중소전자업체를 대상으로 한 지역별 친環境(환경) 순회교육 △유해물질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구축 △環境(환경)친화적 공급망 구축사업 지원 △중소기업 무연솔더링 공정기술개발 지원 △유해물질 分析(분석)법 표준화사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政府(정부)는 특히 현재로선 環境(환경)규제가 수출업계에 미치게 될 영향과 심각성에 대해 알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 이 달중 교육단을 구성해서 3월부터 지역별 순회교육을 시작할 계획이다. 올들어서도 環境(환경)규제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지도는 20∼30% 정도로 지난해에 비해 별반 다른 게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分析(분석)이다.
 그는 또 “環境(환경)규제 대응은 어디까지나 업계 자율로 가야하지만 2006년이면 업계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교육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중소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중국·대만·홍콩·대한민국.’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레포트 > 기타
[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4/끝)규제는 대세다
 政府(정부)는 또 현재 5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전자부품내 유해물질 分析(분석)기술을 기술표준원을 통해 개발해 각 시험기관에 보급함으로써 선진국의 環境(환경)규제에 원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키로 했다. . ‘폐전기·전자기기지침(WEEE)’, ‘제품에 대한 친環境(환경)설계규정(EuP)’, ‘위험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등 각종 環境(환경)규제 지침 시행을 앞두고 있는 EU의 環境(환경)규제 관련 특별관리 대상국가다.
 대한상의가 지난해 조사한 에 따르면 선진국에서 시행중인 環境(환경)규제를 인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전체의 15%에 머물렀다.

Download : 20040219-.jpg( 45 )


설명


 이와 함께 삼성전자·LG전자·한국전자산업진흥회·건국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環境(환경)친화적 공급망 구축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다행히 삼성전자·LG전자·대우일렉트로닉스 등 대기업들은 일찍부터 環境(환경)규제에 눈을 뜨고 선진국의 움직임에 대응하고 있따 그러나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전체 14,89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c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