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도시 및 교통공학 - Interchang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08:10본문
Download : 도시 및 교통공학 - Interchange.ppt
1. Interchange의 定義(정이)
2. I.C 배치 계획 기준
3. I.C의 위치 선정
4. I.C의 구성
5. I.C의 형태
6. 우리나라의 I.C 동향
1. Interchange의 定義(정이)
두개 이상의 도로가 상호교차 또는 접속하는 곳에서 도로를 연결하는 램프(ramp)를 설치하여 입체적으로 접속시키는 시설(나들목)
cf. 분기점(Junction) : 자동차 전용도로가 서로 갈라지거나 입체적으로 만나 연결로 등으로 접속되는 것
분기점 : 자동전용도로끼리 서로 만나는 경우(호법J.C, 신갈 J.C)
I.C : 자동차전용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 이외의 도로가 서로 만나는 경우 (신월 I.C)
2. I.C 배치계획 기준…….도로의 구조 · 시설 기준에 관한 규정
주요 간선도로와의 교차 또는 접근 지점
인구 30,000명 이상의 도시외곽지역 또는 I.C세력권 인구가 50,000 - 100,000명 정도가 되도록 배치
중요한 …(drop)
도시 및 교통공학 - Interchange
설명
본 자료는 Interchange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I.C 현황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도시및교통공학-Inter , 도시 및 교통공학 - Interchange공학기술레포트 ,
다.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Download : 도시 및 교통공학 - Interchange.ppt( 11 )






도시및교통공학-Inter
본 자료(data)는 Interchange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I.C present condition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