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 삼성과 LG의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4:44
본문
Download :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hwp
그룹사 사장들도 우수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어라, 사장보다 더 많은 연봉을 줄 수 있는 인재를 확보하라. 사장단 평가 때에 point인력 확보 여부에 40%를 할애하겠다. 이들에게는 다양한 금전적인 혜택이 주어진다. 임원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SLP(Samsung Business...
[경제경영]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 삼성과 LG의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1.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주력 사업의 point추진인력에게는 A(Ace)급 대우가 돌아간다. 삼성전자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전문가들은 우수인력 영입과 이들이 한눈을 팔지 않도록 금전적인 보상과 과감한 승진인사를 단행했다는 점을 꼽는다. 신경영의 원년이었던 1993년에 이미 point인재를 확보하지 않은 관계사 사장들에 대한 질타와 함께 앞으로는 point인재가 중요하다는 인재경영론을 설파하였다 . 삼성의 point인재 확보는 “경영업무의 50% 이상을 point인력 확보에 두겠다. 삼성그룹에서 부장 달기란 쉽지 않다. S·A·H급 인력은 그룹사 사장들로 구성된 멘토 그룹의 집중적인 관리를 받는다. future(미래) S급으로 성장할 수 있는 인재들에게는 H(High Potential)등급 대우를 한다. 연봉만도 수십억원이 넘는다.
순서
삼성과 LG의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1. 삼성의 사례 삼성의 ‘핵심...
경제경영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 삼성과 LG의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1.
Download :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hwp( 42 )
삼성과 LG의 핵심인재 육성 국내외 사례 1. 삼성의 사례 삼성의 ‘핵심...





삼성과 LG의 point인재 육성 국내외 example(사례) . 삼성의 example(사례) 삼성의 ‘point인재 경영론’은 사실 이건희 회장이 취임한 19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장 대열에 합류하려면 부장 승진 이전 3~5년 동안 고과평가가 B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다른 그룹에 비해 외부영입에 상당한 비중을 둔다. 부장으로 승진했다면 임원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자질을 확보했다고 믿어도 좋다. 삼성그룹 그룹사 사장들은 능력 있는 외부 전문가 영입에 적극적이다. 고급인력 확보가 곧바로 자신들의 재임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최고급 외부인력은 S(Super)등급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아파트 전세와 자녀 해외교육 특전 등을 받는다. H등급은 직급에 관계없이 부여된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당시 그룹사 사장들에게 했던 말이다. 삼성그룹은 내부인력 양성과 외부 영입을 병행한다.